top of page
알렉산더테크닉의 기본 원리
중추조절
Primary Control
중추조절은 복잡한 기능을 통합하고 단순하게 제어하는 내적 지성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신체의 최상부에 있는 머리(뇌와 감각기관들의 집합부)와 목(척추와 최상부)과의 연결 상태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모든 척추동물에게서 나타나는 반사적 움직임의 총체이기에 시신의 지휘자와 같은 기능을 한다. 스스로 중심을 컨트롤 하고 긴장을 해소하며 적절한 협응으로 힘들 조절하는 타고난 능력으로 인간의 모든 구조와 기능에 있어 가장 중추적 역활을 한다
디렉션
Direction
인간에게 언어는 의식의 촉매와 같다. 전신에 펼쳐진 몸의식을 통합하고 언제나 깨어서 새로운 반응을 안내하는 정신적 지시는 언어를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 여러가지 상상, 심상화, 암시와 다르기 때문에 지시된 문장과 순서를 지켜 순수하게 메세지를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디렉션은 의식 속에서 자각력을 발휘하여 습관적 반응을 자제 시키고 온전한 중중추조절을 작동시킨다
자제심
Inhibition
자제심은 자극관 반응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부적절한 반응을 보류 시키는 원리이다 습관적 반응이 일어나면 '잠시 멈추기 pause' 를 함으로써 새로운 선택의 가능성이 생긴다 이것은 학습된 패턴에서 벗어나 새로운 신경-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감정, 사고, 행동, 수준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주어진 자극에 대한 특정 반응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멈춤의 기술을 훈련함으로써 무의식적 충동과 부적절한 긴장 반응을 스스로 자제 할 수 있게 된다
목적의식
End-gaining
목적의식은 원하는 것을 즉각적으로 만족하려는 욕망적 충동과 특정결과만을 집착하는 습관에 대한 원리이다 본 뜻은 목표나 결과를 중요시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과정을 무시한채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학습되어진 긴장반응들을 자각하고 그 목적의식을 내려 놓았을 때 모든 진행과정이 순조로워져 성곡적인 결과에 다다르게 된다는 원리이다 목적에만 급급해하는 심신상태가 부적절하다는 뜻이다
진행과정
Means Where-by
마음은 쉽게 과거와 미래를 떠다니며 정보를 수집하고 계산만 한다 그러나 정작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생각, 느낌, 감정에 얾매어 제대로 보고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 새롭게 방향을 인식하고 새로운 수단방법을 고려하며 지혜롭게 대응하는 원리이다
판단하지 않음
Non-Judgement
무엇이든 규정하고 기준을 만들어 판단내리는 습관이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이 언제나 옮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빨리 해야한다" 라는 식이다 판단내림이 자제도디지 못하면 자신이 올바르게 하고 있다는 착각이 일어난다 극단적인 긍정 또는 부정으로 판단하려드는 사고체계의 습관은 편견과 감각인식오류에 의해 이루어진다
넌두잉
Non-doing
두잉(doing)은 익숙한대로 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학습 되어진대로 기계적인 자동 반응에 의존해 행동해버린다 넌두잉(Non-doing)은 이러한 습관화된 행위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부적절한 두잉을 관찰하여 자제하면 넌두잉은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이루어진다
어렵지 않아요! AT 원리
평소 자기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담담하게 지켜보세요.
그럼 어떨 때 긴장하며 괴로워하게 되는지 알아차리게 돼요.
예를 들어 어떤 감정과 생각 속에 있을 때 자세가 어떻게 되어지나?, 자신을 관찰하며 ‘이럴 때는 이런 자세와 긴장이 나타나는구나’ 하고 알아차리게 돼요.
“아! 뭔가 조화롭지 못한 것 같아” 라고 자각되면,
우선 하던 것을 잠시 멈추고 쉬는 겁니다.
빨리 끝내버리고 싶겠지만, 일단 쉬고(Pause)하고~ 몸도 마음도 함께 내려놓아요(grounding).
시간? 사실 충분합니다.
이럴 때는 목적한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아무런 판단하지 마세요.
몸의 느낌이나 긴장과 싸우지 마세요. 대신 디렉션을 차분하게 주세요. 내 목이 자유롭다~~~
디렉션을 주고 몸에 맡기다 보면 어느덧 호흡이 안정되고 긴장도 해소 되어갑니다.
기대한 결과를 향해 서두르지 않으며, 생각과 느낌만으로 판단 내리지 않으며..
잠시 머리 속을 비우고 지금 경험되고 있는 순간순간을 맞이하며 현재 상황에 깨어서 대응해 보세요. 지루하다 구요? 오히려 정신이 맑아져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더 잘 알게 되어 즐거워집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것도 상황에 적합한 언행도 잘 의식하게되요.
지금 무엇을 진행하면 좋을지 적절한 행동(휴식/활동)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을 그저 일상 속에 실천해보면 됩니다. 그럼, 분명 삶의 가장 중요한 지식과 기술을 터득하게 됩니다.